팬데믹과 엔데믹 등 코로나19관련 용어 뜻 알아보기
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팬데믹과 엔데믹 등 코로나19관련 용어 뜻 알아보기

by ll[il1ll[lllillllli[1llli 2022. 4. 3.

팬데믹과 엔데믹 등 코로나19 관련 많은 용어를 알아보아요.

코로나19 바이러스가 시작된지 2년이 넘어가는 지금 우리는 일상에 많은 변화를 겪었습니다. 또한 생소한 단어를 만들어 내기도 했는데 팬데믹과, 엔데믹이 그 대표입니다. 얼핏 보면 이해가 되지 않은 경우가 있어 단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

 

팬데믹(Pandemic)

세계보건기구(WHO)가 선포하는 감염병 경고 최고 등급으로, 세계적인 감염병 대유행하는 상태를 뜻하는 용어입니다. 우리말로 번역하면 '감염병 세계적 유행'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.

 

2009년 신종플루가 확산되었을 때 전염병에 대한 대응을 체계적으로 하려고 6단계에 판단 기준을 만들어 냈는데 그 중 펜데믹은 최종 단계인 6단계에 해당합니다.

 

  • 1~3단계는 동물이 인간에게 전파되어 국지적 감염을 일으킬때 선언
  • 4단계는 사람간 전염이 이루어졌을 경우 선언
  • 5단계는 사람 사이에 광범위한 확산이 되었을 경우 선언
  • 6단계는 코로나19, 신종플루 선언된바 있습니다.

 

엔데믹(Endemic)

종식되지 않고 주기적으로 발생하거나 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을 뜻합니다. 우리말로 번역하면 '풍도병'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.

 

백신, 치료약 등이 개발되어 질병에 대한 대책이 마련이 되면 엔데믹이 됩니다.

엔데믹에 해당하는 질병으로 말라리아, 뎅기열 등이 있습니다.

 

PCR(Polymerase Chain Reaction)

의심 환자 기관지에 가검물에서 RNA를 채취하여 확진자 RNA와 비교 후 일정 비율 이상 일치하면 양성으로 판정하는 검사방법입니다.

 

아낙필라시스

항원-항체 면역반응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급격한 전신반응을 뜻합니다.

약물 접종 후 나타날 수 있는 알레르기 증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
댓글